장마철 “레인부츠” 신는 습관이 사실 발 썩게 만듭니다.

11
온라인 커뮤니티
온라인 커뮤니티

장마철이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필수템이 있다. 바로 레인부츠다. 진흙과 빗물로부터 발을 보호하고 양말까지 젖는 걸 막아주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비 오는 날에는 어김없이 꺼내 신는다. 하지만 이 편리한 장화가 알고 보면 발 건강에는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로 레인부츠를 오래 신을 경우 하체 근육에 무리가 가고, 통풍이 잘되지 않아 무좀이나 습진 같은 피부 질환이 생기기 쉬운 조건이 만들어진다. 특히 한여름 장마철처럼 습도와 온도가 동시에 높은 날씨에는 그 위험이 더 커진다.

온라인 커뮤니티
온라인 커뮤니티

고무 재질은 통기성이 거의 없어 발에 열과 습기가 고인다

레인부츠는 주로 방수 기능이 뛰어난 PVC나 고무 재질로 만들어진다. 하지만 이 재질은 공기 순환이 거의 되지 않기 때문에 장시간 신으면 신발 내부 온도와 습도가 빠르게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발바닥에 땀이 차고 축축한 환경이 형성되며, 곰팡이균이나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조건이 갖춰진다.

특히 무좀의 주범인 백선균은 이런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매우 빠르게 증식하며, 심한 경우 발가락 사이가 갈라지거나 피부가 짓무르는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단지 비 안 맞으려고 신었던 장화가 오히려 발을 아프게 만드는 셈이다.

온라인 커뮤니티
온라인 커뮤니티

평평한 밑창 구조는 하체 근육과 발바닥에 부담을 준다

레인부츠는 대부분 쿠션감이 거의 없는 평평한 밑창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장시간 걷거나 활동할 경우 종아리, 무릎, 발바닥에 불필요한 압력을 가중시키게 된다. 특히 아치가 무너진 평발이나 평소 족저근막염을 앓는 사람의 경우 이런 밑창이 발의 체중 분산 기능을 방해하고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실제로 장시간 레인부츠를 신고 걸은 후 발바닥 통증이나 종아리 경련을 호소하는 사람들도 많다. 이는 단지 불편함을 넘어서 발의 구조적 기능에 영향을 주는 문제로 연결될 수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온라인 커뮤니티

레인부츠 착용 후 바로 양말과 발을 깨끗하게 씻는 것이 핵심

레인부츠를 신었다면 집에 돌아온 후 반드시 해야 할 일이 있다. 바로 양말을 벗은 뒤 발을 미지근한 물로 꼼꼼히 씻고, 발가락 사이까지 완전히 건조시키는 것이다. 습기가 조금이라도 남아 있으면 세균과 곰팡이가 그대로 자라날 수 있기 때문에 타월로 닦는 것뿐 아니라 드라이기나 부채 등을 이용해 완전히 말리는 과정이 중요하다.

또한 매일 같은 레인부츠를 신는 것도 피해야 하며, 내부를 알코올로 소독하거나 신발용 건조기를 이용해 건조시켜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이렇게 작은 습관이 무좀이나 발냄새를 예방하는 핵심이 된다.

온라인 커뮤니티
온라인 커뮤니티

장시간 착용이 불가피하다면 인솔을 활용하고, 환기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직업 특성상 레인부츠를 하루 종일 신어야 한다면 내부에 충격 흡수 기능이 있는 기능성 인솔을 넣어주는 것이 하체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또 가능한 시간마다 신발을 벗고 발을 잠깐씩 말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도 중요하다.

레인부츠를 신는 날은 면 소재 양말을 신거나, 땀 흡수 기능이 있는 스포츠 양말을 활용하면 습기 조절에 더 효과적이다. 특히 어린이나 노인은 땀 배출 기능이 약하기 때문에 이런 관리가 소홀하면 곧바로 피부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