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떨어지게 만드는 사람들의 화법 4가지

2

어떤 말투는 듣는 사람의 기분을 은근히 망가뜨린다. 말의 내용보다도 말하는 방식 때문에 마음이 닫히고, 관계가 멀어지는 경우가 많다.

정떨어지는 사람에게는 공통적으로 이런 화법이 있다. 본인은 잘 몰라도, 상대는 이미 마음을 접고 있을지 모른다.

1. 비꼬듯 말하는 사람

상대의 말에 정면으로 반박하진 않지만, 어딘가 빈정거리는 어조를 쓴다.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지~”처럼 말끝을 흐리거나, 칭찬 같지만 은근히 깎아내리는 말을 자주 한다. 비꼼은 유머가 아니라 공격이다. 듣는 사람은 쉽게 상처받는다.

2. 끝까지 말을 안 들어주는 사람

상대가 무슨 말을 하든 중간에 끊고 자기 말을 던진다. “아니 그게 아니라니까” “내 말 좀 들어봐”를 입에 달고 살고, 남의 입장을 들으려 하지 않는다. 대화가 아닌 설교가 되면, 마음은 더 이상 열리지 않는다.

3. 항상 ‘나는 맞고 너는 틀려’ 식으로 말하는 사람

자신의 생각만 옳다고 믿고, 타인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내 말이 맞잖아” “그건 잘 모르니까 그런 거야” 같은 말로 상대를 아래로 본다.

자기 확신이 지나치면 독선이 되고, 듣는 이는 점점 입을 닫는다.

4. 말끝마다 남을 평가하는 사람

대화 주제가 무엇이든 결국 누군가를 판단하고, 단점을 지적한다. “그 사람은 성격이 문제야” “걔는 원래 그래”처럼 말하며, 타인의 사정을 함부로 단정 짓는다. 끊임없는 평가 속에서 진심 어린 대화는 존재할 수 없다.

말은 곧 사람이다. 어떤 말을 하느냐보다 어떻게 말하느냐가 관계를 결정짓는다. 사소한 말버릇 하나에도 감정이 담겨 있고, 그 말투는 결국 상대의 태도로 돌아온다.

말투부터 바꾸면, 사람 사이의 온도도 달라진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