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선 ‘답이 없다’ .. 해외로 시선 돌리자 , 돈 쓸어 담는 韓 기업

59
“동남아 시장이 미래 성장동력”
유업계, 현지 공략 ‘가속’
한국
사진 = 연합뉴스

“국내에선 줄어들고, 해외에선 불티나게 팔린다.”

국내 유업계가 분유 수출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고 있다. 특히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한국산 분유의 인기가 급증하면서 수출량이 10년 만에 세 배로 증가했다.

저출산으로 인해 국내 매출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동남아 시장이 유업계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
사진 = 연합뉴스

18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10개국으로의 분유 수출액은 3,070만 달러(약 442억 원)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2014년 1,050만 달러(약 151억 원) 대비 세 배 증가한 수치다. 수출량도 932t에서 2,465t으로 2.6배 늘어났다.

캄보디아, ‘한국산 분유의 메카’로 자리 잡다

한국
사진 = 연합뉴스

아세안 국가 중에서도 특히 캄보디아가 한국산 분유의 주요 수출국으로 급부상했다. 지난해 캄보디아로의 분유 수출액은 1,560만 달러(약 225억 원)로, 10년 전보다 14배 이상 급증했다.

현재 캄보디아로 수출되는 분유 물량 중 80~90%는 남양유업 제품이 차지하고 있다. 남양유업은 대표 제품인 ‘임페리얼XO’ 외에도 캄보디아 전용 브랜드 ‘스타그로우’를 출시하며 현지 소비자 맞춤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캄보디아 소비자들이 한국산 분유에 대해 신뢰를 갖고 있으며, 특히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선호가 높다”며 “현지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펼친 것이 시장 점유율 확대의 핵심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베트남, 롯데웰푸드의 신흥 시장으로 떠올라

한국
사진 = 연합뉴스

캄보디아뿐만 아니라 베트남에서도 한국산 분유의 인기는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대(對)베트남 분유 수출액은 1,500만 달러(약 216억 원)로, 10년간 1.6배 증가했다. 특히 롯데웰푸드는 베트남 특화 분유 제품 ‘뉴본’을 앞세워 현지 시장을 공략 중이다.

베트남 유통업계 관계자들은 롯데웰푸드의 횡성 공장을 방문해 제품을 직접 확인하며 협업을 강화하고 있다.

롯데웰푸드는 베트남에서의 성공을 발판 삼아 말레이시아로도 유통망을 확대할 계획이다. 한 관계자는 “베트남 시장에서 축적한 노하우를 기반으로 말레이시아에서도 빠르게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업계 전반으로 확산되는 동남아 진출 열기

한국
사진 = 연합뉴스

동남아 시장의 가능성이 확인되면서, 국내 유업계의 해외 진출 움직임이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일동후디스는 베트남 시장을 겨냥해 어린이 균형 영양식 수출에 집중하며, 이를 위한 신제품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업계 관계자는 “국내 시장에서는 저출산으로 인해 성장 한계가 뚜렷한 상황에서, 동남아 시장이 미래 성장을 견인할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성장과 함께 유아용 식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프리미엄 분유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한국 제품의 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한국산 분유의 품질과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만큼, 적극적인 마케팅과 현지 맞춤 전략이 더해진다면 시장 점유율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출산으로 인한 위기를 해외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로 바꾼 국내 유업계. 동남아 시장을 중심으로 한 이들의 도전이 어떤 결과를 만들어낼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실시간 인기기사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