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수도 기대감으로 급등했던 집값
이젠 상가 공실률까지 전국 최고 수준
“14억이던 집이 7억으로 반토막 났다.”
한때 행정수도 이전 논의로 투자 열풍이 불었던 세종시 부동산 시장이 급락세에 접어들었다.
아파트 가격 하락에 이어 상가 공실률은 전국 최고를 기록하고 있다. ‘투자 천국’으로 불리던 세종은 이제 고통스러운 현실과 맞닥뜨렸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세종시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6.47% 하락하며 대구 일부 지역에 이어 전국 세 번째로 큰 폭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2020년 42.37%라는 경이로운 상승률을 보였던 세종의 집값은 이후 3년 연속 내리막길을 걸으며 △2021년 0.68% △2022년 16.74% △2023년 5.14%로 추락했다.
대평동 해들 6단지 아파트는 지난해 14억 원에 거래된 뒤 올해 7억 2천만 원으로 떨어져 반토막이 났다. 외곽 지역의 조치원읍 자이 아파트 역시 최고가 대비 53% 하락한 2억 3천만 원에 거래됐다.
이 같은 하락세는 세종시 부동산 시장의 실수요 중심 재편과도 연결된다.
한 공인중개사는 “현재 매도자는 양도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매물을 내놓고 있지만, 매수자는 인근 지역의 실거주 수요가 대부분”이라고 설명했다.
반토막 난 집값, 텅 빈 상가
주거 시장과 함께 상업 시장도 큰 위기를 겪고 있다.
세종시는 지난해 4분기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24.1%로 전국 최고를 기록했다. 소규모 상가(8.4%)와 집합상가(14.5%) 공실률도 전국 최상위권에 속했다.
금강 남측 수변 상가의 경우 전체 상가 중 절반이 비어 있을 정도다. 세종시 관계자는 “지난해 상가 공실률이 소폭 감소했지만,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다”고 말했다.
특히 과도한 업종 제한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행복청은 친환경 도시 조성을 목표로 업종 허용을 지나치게 제한했는데, 이는 다양한 상권 활성화를 막고 공실을 장기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한 상인 관계자는 “음식점 외에는 허용된 업종이 거의 없다”며 “보다 실질적인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세종시의 활로 모색… 과연 그 결과는?
세종시는 상권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대책을 내놓고 있다.
시는 2023년 나성·어진동 중심상업지구의 허용용도를 완화해 소형 호텔 입점을 허용했으며, 올해는 BRT노선 주변과 수변상가에 체육시설, 교육연구시설 등 생활편의시설 입점을 추가로 허용할 계획이다.
지난 10일에는 정부세종청사와 중앙공원을 잇는 도시상징광장 2단계 공사가 완료됐다. 약 1.2km 길이의 이 보행광장은 도심 활성화의 새로운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최근용 세종시 정원도시조성추진단장은 “도시상징광장이 시민들에게 휴식 공간과 문화 활동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더욱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에 김효숙 세종시의원은 “대형 공실 상가를 활용한 세종형 창업지구 조성, 공실상가의 공연·전시 공간 활용 지원, 전담 TF팀 구성 등을 통해 올해를 상가 공실 해결의 원년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 세종시가 집값 반등과 상권 회복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실시간 인기기사
- “이제 어쩔 수 없다” .. 새로운 시대 속, 삼성·LG 선택에 소비자들 ‘환영’
- “세계가 인정한 기술력” .. K-방산 저력 보여준 韓기업의 ‘정체’
- 서울 집값 ‘역대급’ 하락? .. 침체 속 반전 아파트의 ‘정체’
- 벤츠보다 “이게 더 끌린다” .. 하이브리드 탑재한 프리미엄 SUV의 ‘정체’
- “평생 원망” … 손숙, 결혼 후 처음 만난 아버지 그리고 밝혀진 진실
- “이제 어쩔 수 없다” .. 새로운 시대 속, 삼성·LG 선택에 소비자들 ‘환영’
- “현대차가 해냈다” .. 전문가들도 인정한 한국車의 ‘정체’
- “이 둘이 친척이었다고?” … 박원숙과 같은 영화까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