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국종 병원장, 정부의 ‘의대증원’ 정책에 처음으로 ‘쓴소리’ 날렸다

39

이국종 대전 국군병원장, 처음으로 의대 정원 확대에 입장 밝혀“앞으로 전문의가 배출되지 않아 사라질 것”

이국종 대전 국군병원장 / 뉴스1

이국종 대전 국군병원장이 급격한 의대 정원 확대가 필수 의료 기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 병원장이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한 입장을 공식 석상에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19일 이 병원장은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열린 ‘명강연 콘서트’에 참석해 “‘필수 의료과가 망한다’는 말은 내가 의대생이던 30~40년 전부터 나왔다. 이는 정부 정책의 실패”라고 말했다. 

그는 “정권이 달라지면 의료정책도 달라진다. 지금 의사가 부족하다고 하는데 내가 전문의를 취득한 1999년에는 의사가 너무 많아 해외로 수출해야 한다고 했다”고 했다. 

이어 “또 얼마 전까지는 미용으로 의료관광을 육성한다고 하더니 이제는 필수 의료를 살려야 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미 한국 필수 의료는 초토화된 상태”라고 비판했다. 

이 병원장은 “해외에서 한국 같은 ‘응급실 뺑뺑이’는 상상할 수 없다. 미국은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기도 전에 의사와 간호사가 대기하고 있는데 이런 시스템을 20년 전부터 갖췄다”고 설명했다. 

또 “일본이 연간 1800번의 닥터 헬기를 띄운다면 한국은 미군 헬기까지 동원해도 출동 횟수가 300번이 안 된다. 이런 게 필수 의료고 이런 시스템부터 다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병원장은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해서 “의사는 강의식이 아니라 선후배 간 1대1 제식으로 교육하기 때문에 함부로 많은 수를 양성할 수 없다”며 비판적인 견해를 밝혔다. 

이국종 대전 국군병원장 / 뉴스1

그는 “30년 전과 비교해 소아과 전문의는 3배가 늘었고 신생아는 4분의 1 수준으로 줄었지만 정작 부모들은 병원이 없어 ‘오픈런’을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 많던 전문의가 어디로 갔겠나. 이런 상황에서 의대생을 200만명 늘린다고 해서 소아과를 하겠냐”고 방문했다. 

이 병원장은 “앞으로 전문의가 배출되지 않아 사라질 것이다”라며 “현재 (의료계가) 몇 달째 머리를 맞대고 있지만 답이 나오지 않는다. 하지만 (현 상황에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 병원장은 중증 외상 분야 국내 최고 권위자로 2011년 ‘아덴만 여명 작전’에서 총상을 입은 석해균 선장과, 2017년 판문점을 통해 귀순하다 총상을 입은 북한 병사를 살려내 주목받았다. 지난해 12월에는 국군대전병원장에 취임했다. 

실시간 인기기사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