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틀거리는 중학생 추궁하니 “다이어트약 먹었다”…알고보니 마약이었다

51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AI 이미지 / Bing Image Creator

최근 청소년들 사이에서 마약이 쉽게 유통되면서 학교에서도 청소년 마약 범죄를 목격했다는 현직 교사의 증언이 나와 충격을 전하고 있다. 

지난 13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는 19년 차 중학교 교사 A씨가 출연해 자신이 근무하는 학교의 한 학생이 마약을 복용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밝혔다. 

A씨는 해당 학생이 술에 취한 사람처럼 비틀거리며 걷는 걸 주변 학생들이 먼저 인지했고, 이후 교사들까지 상황을 알아차리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 학생이 학교에서 비틀거리는 모습을 다른 아이들이 목격했다”며 이를 걱정한 담임교사가 해당 학생과 상담했다고 전했다. 

상담 당시 해당 학생은 “다이어트약을 먹었다”며 “텔레그램에서 모르는 사람에게 구했다. 옆 반 친구하고 같이 먹었다”고 했다. 

이에 대해 A씨는 “아이들은 절대 마약이라고 표현하지 않는다. 은어를 사용한다”며 “(마약 판매자들이) 실제로 다이어트약이라고 홍보하면서 값싼 중국산 합성 마약을 (판매하기 위해) SNS 메시지로 접근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A씨는 다른 학생들에게 물어 확인한 결과 텔레그램을 통해 마약을 쉽게 구할 수 있다는 대답을 들었다고 한다. 

그는 “공중화장실이나 길가 등에 던지기 수법으로 받게 된다”며 “한번 시작하게 되면 그 학생을 중심으로 일종의 커뮤니티가 형성된다”고 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 / gettyimagesBank

그러면서 “그 이후 지속적으로 구매할 경우 지역마다 있는 총책을 ‘동네 선배’라고 부르면서 친근하게 지내는 경우가 흔하다고 한다”고 했다. 

또 “펜타닐이 한 봉지에 40여 개가 들어있다고 한다. 그게 거의 몇천원 단위까지 내려갔다고 들었다”며 “살 때 대량으로 구매하고, 가격을 덧붙여서 주변 친구들한테 되파는 아이들이 있다고 한다”고 했다. 

지난 2일 법무부에 따르면 검찰과 경찰이 단속한 전체 마약류 사범은 2만 7611명으로 전년도보다 50.1% 늘었다. 그중 청소년 마약 사범은 5년 전인 2019년 239명에서 지난해엔 1477명으로 6배 이상 증가했다. 

A씨는 “과거 소위 노는 학생들의 문제가 술이나 담배였다고 하면 지금은 도박, 마약인 셈”이라며 “학교 현장에서는 예방 교육에만 의존하고 있다. 교육에만 의존할 게 아니라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시간 인기기사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