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 일본 여행가도 되나요?”…역대급 ‘치사율’로 난리난 감염병 유행 시작

98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한국인의 ‘일본 여행 러시’가 이어지는 최근, 일본에서 역대 최대 규모로 감염병이 유행하고 있어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치사율은 굉장히 높은 데 비해 개발된 백신이 하나도 없는 상태여서 위험하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지난 11일 NHK와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는 올해 들어 지난 2일까지 ‘연쇄상구균 독성 쇼크 증후군'(STSS) 환자 발생 보고 건수가 977명으로 지난해 같은 시기의 2.8배로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역대 최다를 기록인 연간 941명을 뛰어넘은 수준이자 현행 방식의 집계가 개시된 1999년 이래 최다다.

STSS는 A군 연쇄상구균에 감염돼 발생하는 침습적 감염질환으로 무려 30%의 높은 치명률을 보이는 질환이다.

건강한 사람이 A군 연쇄상구균에 감염되면 초기에는 인후통 등 가벼운 호흡기 증상을 보이다가 회복하지만, 고령, 당뇨병, 암 등으로 인한 면역 저하자들에게는 괴사성 연조직염, 균혈증, 폐렴 등 침습적인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침습적 A군 연쇄상구균 감염으로 인한 사망률은 약 25~48%이지만, STSS로 발전하면 사망률이 30~70%로 증가하게 된다.

현재 알려진 STSS의 감염 경로는 주로 점막이나 상처로, 기침과 재채기를 할 때 확산되는 비말로도 감염될 수 있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 gettyimagesBank

A군 연쇄상구균 백신은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전에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본 보건당국은 손 씻기, 기침 에티켓 등 기본위생 수칙을 준수할 것을 권고했다.

한편 국내에서 STSS의 동일한 원인 병원체인 A군 연쇄상구균에 의한 성홍열 환자는 2023년 810명으로 매우 낮은 발생률을 보였다.

2000년 이후 성홍열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이 보고된 사례도 총 4건이며, 이중 STSS가 의심되는 사례는 단 2건이었다. 

실시간 인기기사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