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은 지옥’이라더니…현실은 혼자가 더 불행

108

통계청 사회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연령대 높을수록 미혼 만족도 하락 커

뉴시스이기일 보건복지부 1차관이 8월 4일 서울 용산구 한국보육진흥원에서 열린 ‘결혼에 대한 청년의 생각을 듣는다 청년세대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삶 전반에서 미혼 남녀의 만족도가 기혼 남녀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19일 통계청 ‘2022년 사회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대는 ‘자신의 삶에 만족한다(매우 만족, 약간 만족)’는 비율이 미혼 남성 46.2%, 미혼 여성 48.0%로 유배우 남성(58.1%), 유배우 여성(56.4%)보다 각각 11.9%포인트(P), 8.4%P 낮았다. 주관적 만족감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낮아졌는데, 미혼일 때 상대적으로 하락 폭이 컸다. 특히 50대는 미혼 남성·여성의 만족도가 각각 21.8%, 33.3%까지 떨어졌다. 50대 유배우 남성·여성은 각각 46.3%, 46.7%였다. 배우자 유무에 따른 만족도 차이는 남성이 24.5%P, 여성은 13.4%P로 벌어졌다.

경제적 성취 만족도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전 연령대에서 유배우 남성·여성이 미혼 남성·여성보다 높았다. 40대는 미혼 남성이 22.8%, 미혼 여성이 23.6%로 유배우 남성(44.0%)·여성(40.5%)보다 각각 21.2%P, 16.9%P 낮았다. 이런 경향은 50대에도 이어졌다. 이는 가구 특성별 소득·지출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소득이 같은 남녀가 결혼하면 소득은 2배가 되지만, 지출은 1.5~1.7배가 된다. 주거비용과 생계비 등이 절감돼서다. 이 경우, 저축 등에 활용 가능한 가계수지 흑자액(잉여소득) 차이는 2배 이상 벌어지게 된다.

건강상태는 미혼일 때 상대적으로 이른 시기에 악화했다. ‘전반적 건강상태가 좋다(매우 좋다, 좋은 편)’는 응답률이 남성은 유배우일 때 30대에 크게 떨어졌으나, 이후 50대까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미혼은 40대에 유배우 남성과 비슷한 수준으로 떨어지고, 50대에선 낙폭이 더 커졌다. 여성은 여성 미혼일 때 40대, 유배우일 때 50대에서 건강상태가 좋다는 응답률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육아는 현실…스트레스는 미혼이 덜 느껴

다만, 스트레스 정도는 유배우 남녀가 상대적으로 컸다. ‘일상생활 스트레스를 많이 느낀다(매우 많이 느낌, 느낀 편)’는 응답률이 20대는 미혼(남성 35.3%, 여성 44.8%)이 유배우(남성 32.9%, 여성 42.3%)보다 높았다. 그런데, 30·40대는 유배우가 더 많이 스트레스를 느꼈다. 30대는 미혼이 남성 44.8%, 여성이 55.0%였으며, 유배우는 남성 48.3%, 유배우 57.3%였다. 40대도 미혼(남성 50.4%, 여성 52.5%)보다 유배우(남성 53.6%, 여성 57.3%)의 응답률이 높았다.

통계청 ‘인구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출산 순위별 모(母)의 평균연령은 첫째아 32.95세, 둘째아 34.24세, 셋째아 35.70세였다. 모 기준 평균적으로 30대 중반 출산하고, 40대 초반에 자녀를 학교에 보낸다. 30·40대 스트레스 증가도 출산·육아 부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50대 접어들면 미혼의 스트레스가 더 커졌다. 스트레스를 많이 느낀다는 응답률이 남자는 미혼(53.6%)이 유배우(46.2%)보다 7.4%P 높았다. 여성은 미혼과 유배우가 비슷했다.

결혼 지옥?…“해보니 괜찮은데”

결혼에 대한 부정적 견해는 미혼이 많았다. ‘결혼하지 말아야 한다(하지 말아야 한다, 하지 않는 게 좋다)’는 응답률은 20대 미혼이 남성 4.9%, 여성 8.8%로 유배우(남성 2.7%, 여성 3.7%)보다 각각 2.2%P, 5.1%P 높았다. 연령대가 올라도 이런 추세가 이어져 50대에선 미혼이 남성 7.6%, 여성 6.8%로 유배우(남성 1.8%, 여성 2.6%)보다 각각 4.9%P, 4.2%P 높았다.

가족관계 만족도는 유배우가 미혼보다 높았다. 다른 만족도와 마찬가지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떨어졌으나, 미혼에서 낙폭이 상대적으로 컸다.

20대 미혼은 ‘가족관계에 만족한다(매우 만족, 약간 만족)’는 응답률이 남성 72.2%, 여성 73.2%로 유배우(남성 80.2%, 여성 80.9%)보다 각각 8.0%P, 7.7%P 낮았다. 배우자 유무에 따른 가족관계 만족도 차이는 30대에서 가장 많이 벌어졌다. 남성은 미혼 63.0%, 유배우 81.8%로 18.8%P, 여성은 미혼 66.2%, 유배우 76.1%로 9.9%P 차이를 보였다. 그나마 40대 이후에는 격차가 다소 좁혀졌다. 50대는 미혼이 남성 52.6%, 여성 49.5%로 유배우(남성 64.9%, 여성 56.8%)보다 각각 12.3%P, 7.3%P 낮았다.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