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의 비상 움직임” 한국 기업들이 차례대로 깜짝 놀란 ‘트럼프의 한 수’
인텔 지분 인수, 글로벌 반도체 질서 흔들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례 없는 행보를 택했다. 미국 정부가 처음으로 민간 반도체 기업의 지분을 직접 인수하며 최대 주주 자리에 오른 것이다. 그 대상은 다름 아닌 미국 반도체 산업의 상징이자 최근 경영난으로 흔들리던 인텔이었다. 이 사건은 단순한 지분 거래를 넘어, 글로벌 반도체 기업 전체에 긴장감을 던진 중대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인텔, 정부 품에 들어가다
트럼프 대통령은 22일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미국 정부가 인텔 지분 10%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블랙록이 보유한 8.92%를 넘어서는 최대 주주 지위다. 총 89억 달러(약 12조 원)에 달하는 이번 거래는 반도체법 보조금 57억 달러와 보안 칩 생산 지원금 32억 달러로 충당됐다.
미 상무부는 해당 지분이 ‘비의결권 주식’이라며 경영 간섭 우려를 차단했지만, 업계는 “최대 주주의 존재 자체가 강력한 압박”이라며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특히 인텔은 대규모 구조조정과 해외 공장 중단까지 단행할 정도로 자금난에 빠져 있었기에, 이번 거래는 사실상 생명줄 역할을 한 셈이다.

“나는 더 할 것” 트럼프의 경고
트럼프 대통령의 후속 발언이 파장을 키웠다. 그는 “우리는 그와 같은 거래를 많이 한다. 나는 더 할 것”이라고 못박으며, 다른 기업에도 동일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업계는 즉시 TSMC와 삼성전자 등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인 외국 기업을 연상하며 긴장에 빠졌다.
실제로 미국은 반도체법을 통해 TSMC에 66억 달러, 삼성전자에 47억 5천만 달러, 마이크론에 62억 달러 지원을 약속한 상태다. 이 보조금이 지분 참여 요구로 이어진다면,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전략 수정은 불가피해진다.

한국과 대만, ‘보조금의 덫’ 우려
TSMC 경영진은 이미 미국 정부가 지분 참여를 조건으로 내세울 경우 보조금을 반환하는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국 정부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미국 정부와 직접적인 주주 관계로 얽히는 것은 부담이 크다는 판단 때문이다.
한국 기업들도 크게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에 수십조 원 규모의 파운드리 공장을 짓고 있지만, 트럼프식 지분 인수 모델이 적용될 경우 독립성과 기술 기밀 보호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

새로운 정부-기업 관계 모델
미국 정부는 지분을 의결권 없는 형태로 한정한다고 강조했지만, 업계 전문가들은 “비의결권 주식이라도 정보 접근권과 간접적 압력은 존재한다”고 지적한다. 특히 반도체처럼 국가 안보와 직결된 산업에서 정부의 지분 참여는 사실상 정책적 통제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는 글로벌 반도체 시장의 투자 구조를 송두리째 바꿀 수 있는 위험 요인이다. 기업이 단순히 보조금을 받는 것이 아니라, 정부와 주주 관계로 엮이며 전략적 선택의 자유가 줄어드는 전례 없는 국면에 진입하게 되는 것이다.

글로벌 반도체 판도, 어디로 가나
트럼프의 인텔 지분 인수는 단순한 기업 구제책을 넘어, 미국이 자국 중심의 반도체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직접 소유’라는 초강수를 둔 사건이다. 한국과 대만 기업들에겐 새로운 위기이자 동시에 기회다. 현지 생산과 기술 협력을 확대하며 방어할 것인지, 독자 노선을 모색할 것인지 기로에 서게 됐다.
핵심 정리
1 미국 정부, 인텔 지분 10% 인수 → 최대 주주로 부상
2 트럼프 “나는 더 할 것” 발언 → 글로벌 반도체 기업 긴장
3 삼성·TSMC 등, 보조금이 지분 요구로 이어질 가능성 우려
4 비의결권 지분이라도 간접적 통제·정보 접근 리스크 존재
5 글로벌 반도체 투자 구조, 정부-기업 간 새로운 권력 균형 시대로 전환
- 6년간 10명에서 “부동산 4천 채” 싹 쓸었다는 ‘큰 손’ 정체
- “한국이 세계 최강”이라 하루아침 600조 넘게 번다는 이 ‘기술’
- “한국 성장률 1%”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이 한국에도 찾아와서 비상 걸린 ‘이것’
- “1억 6천” 국가 행사로 결혼식 취소된 고객에게 전액 무상 약속한 ‘1위 호텔’
- “1조 원 현금” 운명을 건 빅딜로 신의 한 수를 만든다는 이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