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의 영원한 라이벌”에서 3년 만에 절반이 무너졌다는 ‘이 기업’


🚗 “현대차의 영원한 라이벌”에서 3년 만에 절반이 무너진 기업들의 현실

📉 3년 만에 반토막 난 점유율

한때 현대차·기아의 뒤를 받치며 ‘완성차 빅5’의 축을 이뤘던 르노코리아·KG모빌리티·한국GM. 하지만 최근 이들의 국내 점유율은 2021년 15.6%에서 올해 5월 7.2%로 추락했다. 불과 3년 만에 절반 가까이 무너진 것이다. 같은 기간 수입차 판매량은 세 회사를 합친 것보다 많아졌다. 시장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한 대가였다.


🕐 늦어진 신차, 더딘 하이브리드 전환

위기의 배경은 단순하다. 신차 투입이 늦었고, 하이브리드·전기차 같은 친환경 전환은 더뎠다. 소비자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자동차 시장에서 ‘대안’을 찾았다. 국산 중견 3사는 SUV 라인업 의존도가 높았지만, 전동화 경쟁력 부족으로 ‘수입 하이브리드’와 국산 ‘현대차·기아’에 밀렸다. 결국 ‘선택지’에서 빠르게 제외되고 있는 상황이다.


🔄 르노코리아, 신차 공세로 반격 모색

르노코리아는 뒤늦게 반격 카드를 꺼냈다. 중형 하이브리드 SUV ‘그랑 콜레오스’를 내놓으며 회복 신호탄을 쐈고, 올해 하반기 전기 SUV ‘세닉’, 내년에는 쿠페형 SUV ‘오로라2’ 출시를 예고했다. 연속적인 신차 투입으로 내수 시장에서 존재감을 되살리려는 전략이다.


⚙️ KGM, 친환경 SUV 라인업 확대

KG모빌리티도 움직이고 있다. 2030년까지 신차 7종을 내놓을 계획이며, 하이브리드 SUV ‘토레스’, ‘액티언’을 중심으로 친환경 포트폴리오를 확장 중이다. 단순 전기차가 아니라 주행거리 연장형 하이브리드(EREV)까지 고려하며, SUV 시장에서 ‘늦었지만 확실한 방향성’을 보여주려는 모습이다.


🛑 한국GM, 멈춘 내수와 흔들리는 수출

가장 위태로운 곳은 한국GM이다. 올해 내수 신차는 ‘더 뉴 에스컬레이드’가 전부였고, 주력 모델 트레일블레이저와 트랙스는 판매량이 30% 넘게 빠졌다. 수출도 관세 리스크와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 예전 같지 않다. 부평공장 자산 매각, 직영 서비스센터 매각 등으로 ‘국내 철수설’은 더 강하게 불거졌다. 내수 전략 부재는 곧 ‘퇴장 준비’로 읽힐 수 있다.


📌 핵심 정리

1 국내 완성차 중견 3인방 점유율, 3년 만에 15.6% → 7.2%로 반토막
2 신차 출시 지연·하이브리드 전환 실패가 주원인
3 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세닉’ 등 신차 공세로 반등 시도
4 KG모빌리티, 토레스·액티언 기반 친환경 SUV 라인업 확대
5 한국GM, 내수·수출 모두 흔들리며 사실상 ‘철수설’에 휩싸임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