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같은 운동인데 효과는 천차만별 … “식전 vs 식후” 타이밍 따라 몸의 결과도 다르다

173
체중 감량엔 공복 운동이 유리
혈당 조절과 근육 강화는 식후가 정답
중요한 건 ‘언제’보다 ‘얼마나 꾸준히’
출산급여
사진 = 리포테라
아침 공복에 운동하면 살이 더 잘 빠질까? 아니면 밥 먹고 나서 해야 효과가 좋을까?

운동 타이밍에 대한 이 질문은 생각보다 답이 복잡하다. 지방을 연소하고 싶은 사람, 혈당을 낮추고 싶은 사람, 근육을 키우고 싶은 사람에게 각각 다른 해답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공복 운동, 지방 연소에 강력한 무기

출산급여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식사 전에 운동하면 체내 저장 탄수화물보다 지방을 더 많이 에너지로 사용하게 된다. 미국 스포츠의학회에 따르면, 공복 상태에서의 유산소 운동은 체지방 대사를 자극해 다이어트 효과를 높인다고 전한다.

특히 아침 식사 전은 당분 저장량이 가장 적은 시간대로, 지방이 에너지원으로 가장 활발히 사용된다. 하지만 이 방식엔 위험도 따른다.

혈당이 낮은 상태에서는 어지럼증이나 탈진, 심하면 저혈당 쇼크까지 발생할 수 있어 저혈압이나 당뇨 환자는 주의가 필요하다.

운동 생리학 전문가들은 “공복 운동은 무리하지 않고 짧게, 그리고 수분 보충은 충분히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근육량 감소의 우려도 있다. 공복에 장시간 운동하면 단백질도 함께 분해돼 기초대사량이 떨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식후 운동, 혈당 조절과 근육 성장에 유리

출산급여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반대로 식후 운동은 혈당을 천천히 올리고 인슐린 민감도를 높여, 특히 당뇨병이나 대사증후군 환자에게 효과적이다. 미국 내분비학회는 “식후 30분 이내의 가벼운 걷기나 자전거 타기는 혈당 조절에 도움이 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또한 식사 후 에너지 상태가 충분하므로 고강도 운동에도 적합하다. 단백질과 탄수화물이 공급된 직후에는 근육 합성이 활발해지기 때문이다.

다만, 식사 직후 격렬한 운동은 피해야 한다. 위에 부담을 줄 수 있어, 일반적으로는 식후 1~2시간 후에 운동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정답은 나에게 맞는 ‘타이밍’ 찾기

출산급여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전문가들은 공통적으로 “중요한 것은 식전이냐 식후냐가 아니라, 자신의 목적과 체질에 맞는 방식을 얼마나 꾸준히 유지하느냐”라고 입을 모은다.

체중 감량에는 공복 운동이, 근력 강화나 혈당 조절에는 식후 운동이 유리하다.

식전 운동이 더부룩함 없이 활력을 줄 수 있는 반면, 에너지 고갈로 컨디션이 나빠질 수도 있다. 식후 운동은 충분한 연료와 함께 높은 강도의 운동이 가능하지만, 소화 문제가 발목을 잡을 수 있다.

결국 운동의 효과를 좌우하는 건 ‘지속성’이다. 내 몸에 맞는 시간대를 찾고, 무리 없이 실천할 수 있는 습관을 만드는 것이 건강한 몸을 만드는 가장 확실한 지름길이다.

실시간 인기기사

+1
0
+1
0
+1
0
+1
0
+1
0

경제 랭킹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