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산’이라더니 말 바꾼 트럼프폰
제조국 논란 속 예약 판매는 강행
이해충돌 비판에도 사업 확장 행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가족 기업이 새로운 이동통신 서비스와 함께 자체 브랜드 스마트폰 ‘T1 폰’ 출시를 예고했다.
발표 당시에는 ‘미국산’을 강조했지만, 최근 홍보 문구에서 해당 표현이 사라지며 논란이 일고 있다. 제품 사양 일부도 조정되면서 출시 전부터 신뢰성 문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미국산 강조’는 왜?…트럼프 정치 행보와 연결

트럼프 오거니제이션은 지난 6월 16일, 이동통신 서비스 ‘트럼프 모바일’과 함께 스마트폰 ‘T1 폰’ 출시 계획을 공개했다.
안드로이드 기반의 이 제품은 499달러(약 68만 원)로, 고해상도 카메라와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등 프리미엄 사양을 내세웠다. 주목할 부분은 출시 발표 당시 ‘미국에서 설계하고 제조한 제품’이라는 점을 유독 강조했다는 것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줄곧 외쳤던 ‘미국 제조업 부활’ 기조와 맞닿아 있는데, 그는 애플과 삼성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스마트폰을 미국에서 생산하지 않는다고 비판하며, 자국 생산을 정치적 메시지로 활용해왔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미국 내 스마트폰 생산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에 애초부터 그의 홍보 문구가 현실과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슬그머니 바뀐 문구…사양도 일부 후퇴

결국 우려는 현실이 됐다. IT 전문매체 ‘더버지’가 6월 26일(현지시간) 확인한 바에 따르면, 트럼프 모바일 공식 홈페이지의 ‘T1 폰’ 예약 판매 페이지에서 ‘미국산’ 관련 문구는 모두 삭제됐다.
대신 “미국의 가치를 염두에 두고 설계한 제품”이라는 모호한 표현만 남았으며 제품 사양도 일부 바뀌었다. 디스플레이는 기존 6.8인치에서 6.25인치로 축소됐고, 배송 시점은 8월 출시에서 연내 배송으로 변경됐다.
이해충돌 우려 여전…윤리 논란 확산

트럼프 그룹은 호텔, 골프장 등 기존 사업에서 디지털·모바일 분야로 공격적으로 확장 중이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강조하는 ‘미국 제조업 부흥’이라는 메시지와 이번 스마트폰 사업이 맞물리며 정치적 이해관계 논란도 커지고 있다.
미국 내 윤리 감시단체들은 대통령 직무와 가족의 사적 이익 활동 사이의 경계를 문제 삼고 있다.
실제로 최근 미국 정부윤리국이 공개한 문서에는 트럼프 그룹이 참여한 수백 개 사업의 구체적 내역이 담겼으며, 암호화폐 및 디지털 자산, 향수, 신발 등에서도 수익을 거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 법조계는 이런 사업 방식이 국내에선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변호사는 “한국에서 대통령 가족이 통신사업을 추진한다면 강한 사회적 반발과 법적 제재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공직자의 직무와 이해관계가 닿는 업종은 특별한 심사를 거쳐야 하므로 사업 성사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실시간 인기기사
- “미래마저 전부 가져다 팝니다”… 4600만 톤 남아도는 상황에 업계 ‘초비상’
- “나라 살리려다 어르신들 죽어간다”… 세계 최악의 현실에 전문가도 ‘일침’
- “단돈 1만 원만 내면 평생 연금 받는다?” … 쏠쏠한 ‘나랏돈 보너스’에 전국이 ‘웅성’
- “남의 불행은 우리의 행복” … ‘희망회로’ 돌리던 中, FIFA 한 마디에 ‘망연자실’
- 강제로 빼앗겼던 이것 “100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온다”… 기적 같은 귀환 소식에 ‘뭉클’
- 빈털터리라더니 “1억이 떡하니”… 정부의 강력한 한방에 줄줄이 ‘백기’
- “이래도 내가 필요 없어?” … 손흥민 기술 앞에 최강 골키퍼들도 ‘절레절레’
- “3170억 받고 손흥민 문 닫아버렸다” … ’42세 현역’ 선언으로 엇갈린 운명, 새 출발 ‘빨간불’
경제 랭킹 인기글
경제 최신 인기글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