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는 스스로 전화 걸고 돈까지 맡긴다
고령층 노린 ‘가스라이팅형’ 보이스피싱 기승

60대 A씨는 자신의 이름을 정확히 부르며 “카드가 발급돼 배송 중입니다.”라는 카드 배송 안내 목소리에 별다른 의심 없이 통화를 이어갔다.
하지만 그 전화는 단순한 배송 확인이 아니었다. 바로, 고도로 정교하게 설계된 보이스피싱 시나리오의 첫 장면이었다.
보이스피싱은 이제 단순한 전화 사기가 아니다. 치밀한 연기와 심리전이 결합된 조직적인 범죄로 진화하고 있으며, 특히 고령층을 노린 이른바 ‘카드 배송 사칭’ 수법이 최근 급증하면서 사회적 경각심이 요구된다.
‘택배기사→금감원→검찰’, 치밀하게 짜인 연극

보이스피싱 조직은 역할을 나눠 연기하듯 행동한다. 첫 관문은 택배기사다. “카드가 배송 중이다”는 말로 시작해 피해자가 “그런 적 없다”고 반응하면, “신용사기일 수 있으니 카드사에 확인하라”며 전화번호를 준다. 물론, 이 번호도 가짜다.
그 번호로 연결되면, 기다렸다는 듯 고객센터 직원이 ‘명의 도용 사고접수 링크’를 보내준다. 이 링크를 클릭하는 순간 피해자의 스마트폰엔 악성 앱이 설치되고 마는데, 이 앱은 전화를 감청하고 실제 금융감독원이나 검찰청 번호로 전화를 걸어도 범죄 조직에게 연결되도록 만든다.
이후는 감정의 흔들림을 노린다. 검사를 사칭한 인물은 “수사 중인 사건의 핵심 인물”이라며 압박하고, 금감원 직원을 사칭한 인물은 “우리가 도와줄 수 있다”며 유대감을 조성한다.
결국 피해자는 자산 보호 또는 법적 절차를 위한 자금이라는 명목으로 수백에서 수천만 원을 스스로 이체하게 된다.
고령층 노리는 ‘가스라이팅’, 21억 피해 사례도

이처럼 최근 보이스피싱은 단순한 전화 협박이 아닌, 검찰과 금융감독원, 카드사 직원 등으로 치밀하게 역할을 나눠 피해자를 압박하고 신뢰를 구축하는 ‘시나리오형 범죄’로 진화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의 2024년 하반기 조사에 따르면 2억 원 이상 고액 피해자의 80%가 여성이었고, 특히 60대 여성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서울 강남 3구에서는 전체 피해액의 30%가 발생했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실제로 한 70대 여성은 이상거래로 은행 측이 본인 확인을 시도했지만 “아들의 사업 자금”이라는 말에 결국 21억 원을 이체하고 말았다. 이처럼 피해자는 ‘누군가의 도움을 받지 말라’는 심리적 조작까지 겪게 되는 것이다.
예방은 ‘의심’에서 시작된다

전문가들은 “본인이 신청하지 않은 카드 관련 연락은 무조건 의심부터 하라.”고 입을 모은다. 카드사 번호는 반드시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직접 거는 것이 안전하다.
또한 금감원이나 검찰 등 공공기관은 절대 자금 이체나 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는다.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AI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앱(LG유플러스의 ‘익시오’, KT의 ‘후후’, SKT의 ‘에이닷’)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들 앱은 통화 내용을 실시간 분석해 사기 가능성이 있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보낸다.
혹시라도 이미 돈을 이체했다면 주저하지 말고 즉시 경찰(112)이나 금융회사 콜센터에 연락해 지급 정지를 요청해야 한다. 이 한 통의 전화가 거액의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실시간 인기기사
- “세계 2위 소비국 대한민국” .. 또다시 들려온 가격 상승 소식에 ‘한숨만’
- 480억 더 비싸도 “한국산으로 싹 바꾼다”… 전 세계가 중국 버리고 韓에 ‘러브콜’
- “옆집은 年 50만 원까지 더 받고 있었다” .. 수십만 명이 몰라서 못 받은 ‘연금’의 정체
- “세계 2위 소비국 대한민국” .. 또다시 들려온 가격 상승 소식에 ‘한숨만’
- “한국만 제자리”, “이러다 영원히 뒤처진다” … 美·中 맹공세에 국내 기업 ‘어쩌나’
- 480억 더 비싸도 “한국산으로 싹 바꾼다”… 전 세계가 중국 버리고 韓에 ‘러브콜’
- “독일 車도 긴장” … ‘확’ 달라져 등장한 국산 럭셔리 세단에 ‘깜짝’
- “옆집은 年 50만 원까지 더 받고 있었다” .. 수십만 명이 몰라서 못 받은 ‘연금’의 정체
경제 랭킹 인기글
경제 최신 인기글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