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비중 첫 60% 돌파
지방 비아파트 세입자 10명 중 8명 월세
월세 사기·전환율 상승에 ‘이중고’

“전세가 무서워 월세 택했는데, 여기마저 위험하다니….”
믿고 옮겼던 월세마저 위협받고 있다. 전세 사기의 충격에서 벗어나기 위해 월세로 이동한 서민들에게 또 다른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다.
월세 수요가 급증한 틈을 타 범죄의 타깃이 된 데다, 높아지는 월세 전환율까지 겹치면서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이제는 월세도 ‘안전지대’가 아니게 된 것이다.
월세 비중 첫 60% 돌파… 지방은 이미 월세 천국

국토교통부가 1일 발표한 ‘2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2월 전국 전월세 신규 계약 중 월세가 차지하는 비율은 61.4%를 기록했다.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처음으로 60%를 넘어선 것이다. 불과 4년 전인 2021년 41.7%였던 월세 비중은 해마다 가파르게 증가해왔다.
지역별로 보면 지방이 수도권보다 훨씬 빠르게 ‘월세화’되고 있다. 지방의 월세 비중은 63.5%로, 1년 사이 5.4%포인트 증가했다.
특히 서울 외 지방의 다세대·다가구 주택은 세입자 10명 중 8명 이상이 월세 계약을 맺고 있는 수준이다.
아파트보다는 빌라 등 비(非)아파트 유형의 월세 증가가 두드러진다. 전국의 비아파트 주택 월세 비중은 76.3%에 달하며, 서울은 76.1%, 지방은 무려 82.9%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전세사기 여파로 빌라 전세를 기피하는 현상이 강해졌고, 이에 따라 월세 전환이 급격히 진행되고 있다”고 진단한다.
전세사기 피했더니 월세 사기… 직거래 플랫폼도 ‘덫’

문제는 월세를 선택한 사람들조차 사기 피해로부터 자유롭지 않다는 점이다. 최근 서울을 중심으로, 중고 거래 플랫폼을 악용한 부동산 사기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지난달 24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는 당근마켓, 네이버, 직방, 다방 등에서 ‘직거래 사기’가 발생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서울 성동구 성수동에서 오피스텔 임대업을 하던 박씨는 A씨로부터 “집주인이 나올 필요 없으니 비밀번호만 알려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박씨는 빈집이라 별다른 의심 없이 출입문 비밀번호를 알려줬다.
그러나 A씨는 이 정보를 이용해 자신이 마치 집주인인 것처럼 속이고 직거래 플랫폼에 해당 오피스텔을 올렸다. 시세보다 훨씬 낮은 조건으로 세입자를 유인해 계약금을 받고 도주하는 수법이었다.
이 방식으로 1건당 20~30명의 피해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증금 전액을 송금하고 연락이 끊긴 사례도 적지 않다.
협회는 “강동구 등 다른 지역으로도 이런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며, “유사 상황 발생 시 즉시 경찰에 신고하라”고 강조했다.
고금리 끝났지만… 월세 부담은 여전히 ‘고공행진’

금리 인하 기조에도 불구하고 세입자의 월세 부담은 가벼워질 기미가 없어 이 역시 부담으로 다가온다. 올해 1월 기준 수도권 전월세 전환율은 5.9%, 지방은 6.9%로 집계됐다.
전월세 전환율은 보증금을 월세로 바꿀 때 어느 수준에서 월세를 책정할지를 가늠하는 지표다. 이 수치가 높을수록 세입자가 내야 할 월세 부담도 커진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금리가 내려가면서 임대인 입장에서는 보증금보다 월세가 더 유리한 수익구조가 됐다”며 “이에 따라 임대인들이 전세 대신 월세를 선호하게 되었고, 월세화가 가속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일부 임대인들은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가입을 피하기 위해 전세금 비율을 의도적으로 낮추고, 그만큼을 월세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부담을 줄이는 중이다.
그 결과 월세화는 앞으로도 계속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월세 시장의 불안 요인이 커지고 있는 만큼, 사기 피해 방지 대책과 함께 전·월세 전환율 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민층의 주거 비용 부담이 계속 커지는 상황에서 실효성 있는 정책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실시간 인기기사
- 한국 버린 줄 알았는데 “오히려 대박 터졌다”… 예상 못한 대반전에 ‘화들짝’
- “中 밀어내고 ’42조’ 시장 제패 나선다”… 쏟아지는 러브콜에 韓 기업들 ‘환호’
- 위기라더니 “이런 걸 해낼 줄이야”… 삼성의 ‘초강수’에 글로벌 시장 ‘발칵’
- 존폐 위기 회사 ‘확’ 바뀌더니 “화려하게 부활” … 매출 3조 7천억 ‘달성’
- 한국 버린 줄 알았는데 “오히려 대박 터졌다”… 예상 못한 대반전에 ‘화들짝’
- “연비 끝판왕 드디어 한국 등장” … F1 기술 적용된 SUV, “대체 뭐길래?”
- “中 밀어내고 ’42조’ 시장 제패 나선다”… 쏟아지는 러브콜에 韓 기업들 ‘환호’
- “현금도 세금도 모두 아낀다” … BMW가 발표한 깜짝 소식에 ‘관심 폭주’
경제 랭킹 인기글
경제 최신 인기글
-
“피 같은 돈 21조 쪽쪽 빨아먹고도 모자랐나”… 대통령까지 ‘분노 폭발’, 서민들 등골 노린다
-
“대한민국은 역시 부동산의 나라인가” … 주식·코인보다 이곳에, ‘짠희’ 임원희도 선택한 투자처의 정체
-
“절반이 일반인과 결혼?” … 대기업 총수 자녀 최근 10년 변화, 외국인·일반 직장인 배우자 급증
-
“결국 사장이 없어도 돌아가는 회사” … 성공 사업가 DNA 분석, 시스템 구조화·자동화가 장기 성공 비결
-
한국 이겨보겠다더니 “이게 무슨 망신”… 예상 못한 전개에 중국 지도부까지 ‘허둥지둥’
-
“2040년엔 37.8%까지 증가” … 여성 가장 가구 급증, 경제적 현실과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