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이 인구감소로 인한 경제규모 위축 문제를 상당부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됐다.
인공지능(AI)을 적극적으로 도입해 잘 활용하면 인구 감소로 경제 규모가 위축되는 부분을 상당히 메울 수 있다는 것이다.
10일 한국은행은 ‘AI와 한국경제’ 보고서에서 모형 시뮬레이션 결과 AI 도입으로 우리나라 경제 총요소생산성은 1.1∼3.2% 개선되고 국내총생산(GDP)도 4.2∼12.6% 늘어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한은은 고령화·저출생에 따른 노동 공급 감소로 2023∼2050년 한국 GDP가 16.5% 축소될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AI가 성공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면 감소 폭을 5.9%까지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한은은 또 직업별 AI 노출·보완 정도를 바탕으로 AI의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일반적으로 노출도가 높고 보완도가 낮은 직업의 경우 AI가 업무를 대체할 확률이 높다고 봤다.
반면, 노출·보완도가 모두 높은 직업은 AI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임금 상승의 혜택을 누릴 여지가 많다고 예상했다.
한은은 국내 근로자 가운데 27%는 AI 도입으로 대체되거나 소득이 감소하는 ‘높은 노출도·낮은 보완도’ 그룹에, 24%가 AI로 혜택을 받는 ‘높은 노출도·높은 보완도’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AI 노출도는 특정 직업이 수행하는 직무가 AI로 어느 정도 대체 가능한지를, 보완도는 해당 직업의 사회·물리적 속성에 따라 AI 대체 위험으로부터 얼마나 보호받는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판사·외과 의사 등은 AI 노출도가 높더라도 인간의 의사 결정이 중요한 만큼 보완도 역시 높아 계속 인간이 수행할 가능성이 크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전체 근로자 가운데 절반 이상(51%)이 AI 도입에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AI 노출·보완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세부 직업 가운데 통신 관련 판매직·법률 및 감사 사무 종사자·고객 상담 및 기타 사무원·통계 사무원·비서 및 사무 보조원 등의 대체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크다.
반면, 의료 및 진료 전문가·건설 및 채굴기계 운전원·운송 서비스 종사자·건설구조 기능 종사자 등은 대체 가능성이 작은 것으로 분류됐다.
한은은 우리나라의 AI 도입 여건이 다른 선진국과 비교해 좋은 것으로 평가했다.
한국의 AI 준비 지수는 165개 나라 가운데 15위로 혁신·경제통합(3위), 규제·윤리(18위), 디지털 인프라(18위) 부문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인적자본 활용·노동시장 정책(24위)이 상대적으로 취약했다.
한은 관계자는 “교육과 재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 안전망을 강화하는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정보유출 논란 딥시크 불똥, 중국산 커넥티드카로 확산…”민감정보 수집 가능성”
- 반도체·자동차·의약품으로 번지는 트럼프 관세 폭풍…한국 경제 타격 불가피
- KT, 스팸문자 최초 발송자 고유코드로 차단…정상 문자 차단 부작용 방지
- [재무제표 읽는 남자] 숫자로 풀어보는 석유화학 산업의 위기 돌파
- [풀·꽃·나무 이야기] 봄의 전령이 전하는 진짜 행복 ‘복수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