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플러스

2093 POSTS 0

TOP

든든한 한그릇요리 볶음밥 레시피 남은 김밥재료 활용 볶음밥

한그릇요리 볶음밥 김밥재료 활용 집밥 간단한점심 간단한 한 끼 한 그릇 요리로 무지 잘 어울리는 볶음밥이에요. 볶음밥은 언제 먹어도 맛있는 쉬운 밥요리로 냉장고 속 자투리 야채들을 처리하는데도 좋아요. 저는 이번에 김밥을 싸고 남은 김밥 재료들로 볶아봤어요. 이틀 연속 김밥을 만들었더니... 한 번씩 집김밥이 먹고 싶을 때 퇴근길에 마트에 들러 김밥 재료들을 사다가 김밥을 만들곤 하는데 그때마다 냉장고파먹기는 기본! 마트에서 산 재료들이랑 냉장고 속 재료들 모아 모아 김밥을 말아주면 어찌나 맛난지~ 10줄은 순식간에 없어져요 '남으면 김밥 전이라도 부쳐먹어야지~' 하기도 하는데 남은 일이 거의 없으니... 요.......

타이베이 호텔 episode 솔직 후기|대안구 감성 숙소 찾는다면 여기!

최근 타이베이 대안구(Daan District)에 새롭게 오픈한 타이베이 호텔 episode(EPISODE Daan Taipei, jdv by Hyatt)를 다녀왔습니다. 음악과 디자인이 어우러진 독특한 분위기, 편안한 시설, 그리고 위치와 서비스 면에서 인상 깊었던 경험을 공유해드릴게요. 1. 개요 및 위치 타이베이 호텔 episode는 2024년에 리모델링된 하얏트(JdV by Hyatt) 계열의 부티크 호텔로, 총 136실 규모입니다 . 대안구 중심부, MRT 중샤오 푸싱(Zhongxiao Fuxing)역에서 도보 약 3분 거리에 있어 접근성이 매우 좋았어요 . 호텔이 위치한 구역은 쇼핑과 식당, 카페가 즐비한 활기찬 동네라, 관광이나 업무 이용 모두 편리했습니다 2. 콘셉트와 분위기 타이베이 호.......

신동엽과 연정훈이 강추한 데킬라

데킬라 마실만 한가요?

김종국 결혼소식 접한 런닝맨 멤버들 반응

석삼 - 다니엘 : 의심하하 : 혼란지효 : 감동뒤늦게 알게 된 지예은은 충격유느도 촬영당일날 알았다 함

내기준 지락실 웃긴장면 탑

음악퀴즈때 미미가 키작은 꼬마이야기를 키작은 꼬마아가씨 라고 해서 영지 극대노하는장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다시봐도 ㅈㄴ웃기다

인기글

인기글

설치 하나 하고 “매년 수천 억씩” 돈 쓸어 담는 중인 한국의...

설치 하나 하고 "매년 수천억씩" 돈 쓸어 담는 한국의 이 장치 신재생에너지 시대가 본격화하면서 ‘전기를 저장하는 장치’가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떠올랐다. 그 중심에는 한국 기업 LS일렉트릭이 있다. 북미 시장을 장악한 글로벌 1위 기업과 손잡고, 단순한 제조업체를 넘어 에너지 산업의 전주기를 아우르는 거대한 도약을 준비 중이다. ⚡ ESS와 PCS, 전력의 몸체와 두뇌 ESS(에너지저장장치)는 태양광·풍력 등으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해두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진짜 핵심은 그 안에서 전력을 변환·제어하는 PCS(Power Conversion System)다. ESS가 전기의 몸체라면, PCS는 전기의 두뇌다. 이 두뇌가 얼마나 정교하느냐에 따라 에너지 효율, 안정성, 나아가 수익성이 결정된다. 이번에 LS일렉트릭이 손잡은 파워일렉트로닉스는 북미 ESS용 PCS 시장 점유율 60%를 차지하는 절대 강자다. 이들과의 협력은 단순한 기술 제휴가 아니라, 곧 글로벌 신뢰도를 확보했다는 의미다. LS일렉트릭의 ‘패키지 전략’ 이번 전략의 묘미는 ‘패키지 공급’이다. LS일렉트릭은 파트너사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고압 변압기와 전력기기를 ESS 패키지로 제공한다. 북미 시장 진입에 필요한 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면서도, 주요 프로젝트에 곧바로 뛰어들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식이다. 더 나아가 양사는 대용량 PCS에 최적화된 차세대 변압기와 제어 기술을 공동 개발할 계획이다. 이는 LS일렉트릭이 단순히 전력기기를 납품하는 회사를 넘어, 발전·저장·변환·송배전을 모두 아우르는 ‘통합 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북미 시장 정조준, 연간 수천억 매출 가시권 북미 ESS 시장은 올해만 38조 원 규모로 추산된다. 그중 60%를 장악한 기업과 손잡았으니, 보수적으로 잡아도 LS일렉트릭은 연간 수천억 원대 신규 매출을 확보할 가능성이 크다. 설치 한 번만 제대로 하면, 매년 안정적인 수익이 들어오는 구조가 완성되는 셈이다. 더구나 정부 정책 덕분에 국내 ESS 수요도 성장 중이지만, 한국 시장만으로는 한계가 명확하다. 따라서 세계 최대 시장인 북미로 직행하는 이번 전략은 성장성 확보를 위한 최적의 한 수다. 실적과 전망, ‘퀀텀 점프’ 예고 LS일렉트릭은 이미 지난해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했고, 2024년에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2025년 이후 매출 5조 원 시대가 올 것이라 전망한다. 여기에 이번 MOU가 더해지면서 전망치는 한층 높아질 수밖에 없다. 단순히 매출 증가를 넘어, 이번 협력은 전력 산업의 가치사슬 전반을 혁신하는 구조적 변화를 예고한다. LS일렉트릭이 ‘성장하는 기업’을 넘어,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는 순간이 다가오고 있다. 핵심 내용 정리 ESS는 전기 저장 장치, PCS는 전기 변환·제어의 두뇌 역할 LS일렉트릭, 북미 시장 점유율 60% 파워일렉트로닉스와 전략적 MOU 체결 단순 공급을 넘어 변압기·제어 기술 공동 개발, 에너지 전주기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 북미 ESS 시장 38조 원 규모, 연간 수천억 신규 매출 가시권 이번 협력은 단순 수출 계약이 아니라 글로벌 에너지 시장 판도를 흔드는 ‘퀀텀 점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