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케데헌 열풍에 방한 외국관광객 역대 최대…관광수지는 악화 ‘왜?’

투어코리아 조회수  

[투어코리아=조성란 기자]  ‘케데헌’ 등 K-콘텐츠 열풍에 올해 1~9월 방한 외국관광객은 1,408만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지만, 관광수지는 73억 달러 적자를 보였다.  이는 같은 기간 64.3억 달러 적자를 냈던 2019년보다 더 악화된 수치다.

야놀자리서치는  ‘1~9월 인바운드·아웃바운드 관광 실적 분석 보고서’를 발표하고, 인바운드 관광의 양적 성장이 수익 확대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적 불균형이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바운드 관광수입은 더디게 회복하는 반면 해외여행 지출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 

야놀자리서치는 “외래객 증가세는 뚜렷하지만 수입 확대로 연결되지 않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며 “고부가가치 관광 상품·서비스를 확대하고 보다 적극적인 인바운드 관광수요 창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광수입 회복 감소 이오는 면세점 매출 감소

올해 1~9월 방한 외래관광객 수는 1,408만명으로,2019년(1,293.3만 명)을 뛰어넘었다. 그러나 관광객 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1인당 지출액은 1,010.4달러로, 2019년의 1,193.1달러보다 15.3%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전체 관광수입 역시 142.3억 달러로 2019년의 92.2% 수준에 그쳤다.

출처: 관광지식정보시스템, 야놀자리서치 분석
출처: 관광지식정보시스템, 야놀자리서치 분석

이러한 관광수입 회복 지연의 주요 요인으로 ‘면세점 매출 감소’를 꼽았다. 외국인 면세점 이용객 수가 814.3만 명으로 팬데믹 이후 어느 정도 회복됐지만 2019년 수준인 1,471.7만 명에는 여전히 크게 못 미친다.

1인당 면세점 지출액 역시 2019년 878.9달러에서 2025년 607.9달러로 감소했다. 

여기에 더해 체류 시간이 짧아 소비 규모가 작은 크루즈 관광객이 2019년 14.5만 명에서 2025년 72.8만 명으로 5배 이상 늘어난 점도 1인당 관광수입 개선을 제약한 요인으로 분석됐다.

해외여행  지출액 증가에 관광수지 뒷걸음… 73억 달러 적자

같은 기간 한국인의 해외여행은 빠르게 회복하며 총 2,165.7만 명이 해외로 떠나 팬데믹 이전 수준에 근접했다. 

출처: 관광지식정보시스템, 야놀자리서치 분석
출처: 관광지식정보시스템, 야놀자리서치 분석

특히 일본과 베트남이 한국인의 선호 여행지로 부상하면서 전체 해외여행 수요를 끌어올렸다. 

일본 방문객은 679.4만 명으로 2019년 대비 37.7% 증가했고, 베트남 방문객 역시 323.8만 명으로 팬데믹 이전 수준을 넘어섰다.

한국인 해외여행객 수는 2019년에는 약간 못 미쳤지만, 1인당 지출액은 오히려 늘어 전체 해외여행 지출 규모는 215.4억 달러에 달했다. 이는 2019년 218.6억 달러와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이처럼 인바운드 관광수입은 더디게 회복된 반면 해외여행 지출은 빠르게 증가한 결과, 2025년 1~9월 한국의 관광수지는 총 73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외래객 수는 늘었지만 수익성은 정체된 현실이 그대로 드러난 것이다.

K-콘텐츠 기반 관광 확대 필요

야놀자리서치 홍석원 수석연구원은 “K-콘텐츠가 글로벌 시장에서 견고한 팬덤을 형성하며 방한 여행 수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K-콘텐츠 팬층은 단순한 관심 집단을 넘어 실제 관광수입 확대로 이어질 수 있는 잠재력이 큰 핵심 소비층”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최근 세계적으로 흥행한 ‘케이팝 데몬 헌터스’ 등 K-콘텐츠 속 관광지에 대한 외국인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관광 상품과 K-콘텐츠를 연계해 새로운 소비 생태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케이팝 데몬 헌터스’ 방영 이후 올해 3분기 외래관광객 수는 2019년 대비 17.0% 증가하며, K-콘텐츠가 관광 수요를 실질적인 성과로 전환시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