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fapjunk.com

코로나19 현재진행형…mRNA백신 국산화 시급


코로나19 사태가 완전히 종식되지 않으면서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주권을 서둘러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JN.1’ 등 새 변이 바이러스가 빠른 속도로 유행하는 데다, 롱코비드라고 불리는 원인 불명의 코로나19 장기 후유증이 공중보건 시스템을 위협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간 신규 확진자 5000여명

지난달 29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월 3주차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5009명으로 지난해 12월 4주차 이후 9주 연속 5000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변종 바이러스인 JN.1가 매섭게 퍼지고 있는 영향이 크다. 지난주 JN.1는 검출률 86.1%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우세종으로 자리 잡은 상태다.

JN.1은 코로나19 오미크론의 하위 변이 바이러스다. 지난해 9월 처음 발견됐으며 전파력이 강해 현재 빠른 속도로 유행하고 있다.

변이 바이러스만큼 기승을 부리는 건 코로나19 장기 후유증인 롱코비드다. 만성피로, 숨 가쁨 등 주로 가벼운 증상을 동반하지만 연령이나 기저질환 여부 등에 따라 생명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질병을 일으키기도 한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세계에서 최소 6500만명 이상이 이를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갑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왼쪽)와 프란체스카 세디아 모더나 글로벌 최고 의학책임자가 지난달 28일 열린 ‘모더나 롱코비드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에 참여해 참석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모더나코리아

프란체스카 세디아 모더나 글로벌 최고 의학책임자는 지난달 28일 모더나가 개최한 롱코비드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에서 “최근 들어 코로나19 감염이 장기적으로 만성질환뿐 아니라 암, 뇌졸증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는 과학적 증거가 나오고 있다”며 “성인뿐만 아니라 유아·청소년의 롱코비드 증상 발현율도 높은 편”이라고 했다.

백신 국산화 언제 될까

새 변이바이러스, 롱코비드 등에 코로나19 백신 수요는 다시 높아지고 있지만 국내 자급화 속도는 여전히 더딘 편이다. 질병관리청은 지난해부터 접종을 시작한 XBB.1.5 코로나19 백신이 JN.1 예방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가천대학교 등 국내 민·관 연구팀은 코로나19 백신이 롱코비드 증상 발생을 현저히 억제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재갑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국내 환자 23만여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백신접종이 롱코비드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있게 예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최근 업데이트된 백신을 맞는 게 롱코비드 증상 예방에 더 효과적이었다”고 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유전자재조합 방식의 코로나19 백신(스카이코비원)만 있을 뿐 개발에 성공한 mRNA 백신은 아직 없다. 이마저도 코로나19 원형 바이러스 백신으로 롱코비드 예방에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JN.1 등 매년 새롭게 출현하는 변이 바이러스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빠르면 1년 안에 개발부터 상용화가 가능한 mRNA 백신 기술확보가 필요한 이유다.

현재 국내에서 mRNA 백신개발 속도가 가장 빠른 곳은 아이진이다. 지난해 코로나19 원형 바이러스 백신인 ‘이지코비드’의 국내 임상 1상을 완료하고 현재 오미크론 변종 바이러스를 함께 막는 2가백신 ‘이지코브투’의 임상 1·2a상을 호주에서 밟고 있다.

아이진을 바짝 뒤쫓고 있는 곳은 동아쏘시오홀딩스 자회사 에스티팜이다. 자체 개발한 유전자 전달체인 지질나노입자(LNP)를 활용한 mRNA 코로나19 백신 ‘STP2104’이 현재 국내에서 임상 1상을 밟고 있다. 이밖에 큐라티스, 셀리드, 엠큐렉스 등이 mRNA 기반의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코로나19 백신 자급화에 대한 목소리를 높아지면서 정부도 관련 연구개발 지원을 강화하는 추세다. 질병관리청은 이달 ‘백신 치료제 개발 100일/200일 계획’을 발표했다. 새로운 전염병이 발생할 시 100~200일 내에 바로 접종 가능한 mRNA 백신 시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핵심 기술도입, 비·임상 과제 등을 지원한다는 내용이다.

백신업계 한 관계자는 “지원 규모와 규제 당국의 정책 등 차이가 존재하나 우리 기업들도 현재 독자 mRNA 플랫폼 기술을 확보하고 신규 바이러스 백신을 개발하는 단계까지 발전했다”며 “코로나19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인 감염병으로 이에 대응해 정부의 일관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