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배운 티나는 행동” 3위 말투, 2위 표정, 1위는?
성장곰 조회수

사람을 깊이 알지 못해도, 몇 분만 지켜보면 쌓여 온 생활습관이 드러납니다. 학력이나 직업보다 먼저 보이는 건 말투, 표정, 몸가짐 같은 아주 사소한 것들입니다.
그래서 어떤 이는 한마디, 한 동작만으로도 “아, 저 사람 품이 있네”라는 인상을 남기고, 어떤 이는 괜히 싸구려 느낌을 풍깁니다. 눈에 바로 보이는 ‘못 배운 티’ 나는 행동들을 순위대로 짚어보겠습니다.

4위. 상황 눈치 못 보고 ‘큰 소리’부터 나오는 행동
공공장소에서 통화할 때 음량 조절을 하지 않거나, 식당·카페·지하철에서 자기들만 있는 것처럼 떠드는 습관은 보는 사람을 곧바로 피곤하게 만듭니다.
주변 분위기, 시간대, 공간의 성격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모습은 배려 부족과 함께 생각의 깊이가 드러나는 지점이기도 합니다. 말의 내용보다 먼저 “저 사람은 자기만 편하면 되는구나”라는 느낌을 남기죠.

3위. 상대를 깎아내리는 말투
말투가 세련되지 않다는 건 단어를 잘못 골랐다는 뜻이 아니라, 상대를 대하는 태도가 거칠다는 의미에 가깝습니다. 반말과 존댓말을 제멋대로 섞거나, 비꼬는 농담을 반복하고, 부탁도 지시하듯 내뱉는 사람 곁에서는 누구나 긴장하게 됩니다.
말은 입에서 나오지만, 듣는 사람의 마음에 꽂히기 때문에 말투가 거칠면 인격 전체가 함께 싸구려처럼 보이기 쉽습니다.

2위. 얼굴에 다 드러나는 무례한 표정
말로는 “괜찮다”고 하지만 입꼬리는 내려가 있고, 눈빛에는 짜증과 귀찮음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직원에게는 싸늘하고, 윗사람에게만 웃는 표정, 듣기 싫은 이야기가 나오면 대놓고 얼굴을 돌리는 행동은 말보다 더 큰 무례로 읽힙니다.
표정을 관리한다는 건 감정을 숨기자는 뜻이 아니라, 최소한 상대를 불편하게 만들지 않으려는 예의를 지키는 일입니다.

1위. 자기 편한 대로만 움직이는 ‘배려 제로 행동’
줄 서 있는 곳에서 슬쩍 새치기하고, 엘리베이터 문을 잡아주지 않으며, 쓰레기를 아무 데나 버리고, 공동 공간을 마치 자기 집처럼 어질러 놓는 습관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규칙과 예의가 있어도 “이 정도는 괜찮겠지”라며 본인 편의부터 챙기는 태도는 배우고 안 배우고의 문제가 아니라 사람 됨됨이의 문제로 보입니다.
말은 번듯하게 해도 이런 행동들이 몇 번 반복되면, 주변에서는 이미 “저 사람은 선 안 지키는 사람”으로 정리해 버리게 됩니다.

품격은 거창한 말이나 화려한 스펙에서 만들어지지 않고, 일상에서 몸이 먼저 움직이는 습관에서 드러납니다. 상황을 읽는 방식, 말이 나가는 방식, 표정을 쓰는 방식, 내 편의와 남의 편의를 비교하는 방식이 쌓여 그 사람의 인상을 만들죠.
하루 안에 바꾸기는 어렵지만, 한 가지씩만 고쳐 나가도 보는 눈과 대하는 태도가 달라집니다. 시간이 지나면 그 차이가 사람 사이의 거리까지 바꿔놓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