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fapjunk.com

“아직 40대인데, 악몽을 꾸는 듯” … 얼어붙은 경기 속 아빠도 아들도 ‘한숨’

“가족 위해 버티고 싶지만…”
취업자 수 21년 만에 최저치
60대
사진 = 연합뉴스

“이 나이에 다시 일자리 찾아야 한다고?”

‘경제의 허리’라고 불리는 40대가 예상치 못한 위기에 내몰렸다. 지난해 40대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8만1000명 감소하며 21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인구 감소뿐 아니라 건설업·도소매업 등 주요 산업의 부진이 고용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40대 취업자는 617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2003년(605만 명)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14년 689만6000명까지 증가했던 40대 취업자 수는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약 7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60대
사진 = 연합뉴스

40대의 인구 자체가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다.

2014년 871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40대 인구는 이후 10년 연속 감소해 지난해 781만 명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단순한 인구 감소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부분도 있다.

건설업과 도소매업, 부동산업 등 내수 기반 산업이 침체되면서 40대의 일자리 감소 폭이 더욱 커졌다는 분석이다.

50세도 못 채우고 퇴직… 줄줄이 구조조정

60대
사진 = 연합뉴스

희망퇴직은 더 이상 50대 이후의 일이 아니다. 금융권을 중심으로 40대 후반 직원들도 대규모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되면서 조기 퇴직이 확산되고 있다.

신한·KB국민·하나·우리카드 등 4대 은행계 카드사는 올해 모두 희망퇴직을 단행했다.

우리카드는 이달 12일부터 15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는데, 1970~1971년생 직원들이 포함됐다.

하나카드는 아예 40세 이상이면서 근속 15년 이상인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했다.

60대
사진 = 연합뉴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55~64세 취업 경험자가 가장 오랫동안 근무한 직장에서 퇴직한 평균 연령은 49.4세였다.

50세를 채우지 못하고 직장을 떠나는 현실이 더 이상 예외적인 일이 아닌 것이다.

이제는 정규직 자리조차 구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지난해 초까지 중소 제조업체에서 15년 넘게 일했던 A 씨는 갑작스럽게 해고를 당한 뒤 재취업이 쉽지 않았다. 결국 그는 주 2~3일만 일하는 초단시간 아르바이트를 시작했다.

60대
사진 = 연합뉴스

A 씨는 “한 달에 300만 원씩 벌던 때와 비교하면 수입이 3분의 1로 줄었다”며 “그래도 가족을 위해 어떻게든 버텨야 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비자발적 퇴직자가 크게 늘고 있다. 지난해 비자발적 퇴직자는 137만2954명으로, 전년 대비 10만 명 이상 증가했다.

이는 전체 퇴직자의 42.9%에 달한다. 즉, 퇴직자 10명 중 4명 이상이 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일자리를 잃은 것이다.

40대도 고용 취약계층… 대책 시급

60대
사진 = 연합뉴스

40대는 그동안 청년층이나 고령층에 비해 정책적 지원이 부족했다.

하지만 경기 침체와 기업 구조조정이 심화되면서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40대가 새로운 고용 취약계층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40대 경제활동인구는 2014년 705만 명에서 지난해 616만 명으로 감소했다.

40대 중 “쉬었다”고 응답한 인구도 2018년 19만6000명에서 지난해 26만5000명으로 35% 증가했다.

60대
사진 = 연합뉴스

또한, 40대 퇴직자 중 비자발적 퇴직자의 비율은 2019년 이후 줄곧 4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이 같은 현실을 반영해 40대 고용 안정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청년층·고령층 지원책과 함께 40대를 위한 재취업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하며, 40대가 다시 경제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현실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실시간 인기기사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