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부터 수익 창출 금지되는 유튜브 콘텐츠는?

135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국내 1위 SNS, 유튜브에서는 타인이 정성스레 만든 콘텐츠에 자막이나 음성합성(TTS)만 입혀 재생산하거나 아예 생성형 인공지능(AI)로 거짓된 정보가 담긴 콘텐츠를 양산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 같은 가짜 뉴스와 저작권 침해 콘텐츠 등이 범람했던 건 간단히 말해 ‘돈이 되기 때문’이었는데요. 이용자들의 말초적 관심을 자극할수록 조회수가 높아지고, 이는 수익 창출로 이어져 왔습니다.

사실 유튜브는 이러한 상황을 꽤 오래 방치해 왔습니다. 모로 가도 사용자 수가 많아지면 된다는 생각이었는지도 모르죠. 하지만 이제부터 유튜브가 본격적으로 환경 정화에 나섭니다. 15일부터 저품질 콘텐츠에 대한 수익 창출을 제한하기로 했거든요.

바뀐 유튜브 약관에 따르면, 유튜브는 실제 목소리를 사용하여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하는 크리에이터에게만 수익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더불어 콘텐츠의 재사용, 복제를 비롯해 노력을 들이지 않았거나 완전히 AI로 생성된 동영상(AI 슬롭)은 수익 창출 자격이 없다고 봤습니다.

기존에도 ‘진정성(authentic)’ 콘텐츠 제작을 원칙으로 했던 유튜브는 이러한 저품질 콘텐츠를 ‘비진정성(inauthentic) 콘텐츠’로 명명했습니다. 일부 스팸성 동영상들은 애초부터 수익 대상이 아니기도 했고요. 하지만 유튜브 내 환경 오염이 심각해지자 ‘AI 슬롭’이라는 바뀐 수익 창출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이 업데이트를 통해 저품질 콘텐츠가 금지된 건 아니지만, 자연스럽게 줄어들 것까지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이 기사에 대해 공감해주세요!
+1
0
+1
0
+1
0
+1
0
+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