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RS 코로나바 핵심효소 단백질, 유전물질 RNA 복제 촉진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이광록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nsp13 단백질은 두 가지 활성을 가지고 있어 시너지 효과를 내며, 이를 통해 SARS 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인 RNA 복제를 촉진한다는 기전을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여기 두 가지 활성에 해당되는 첫번째 헬리케이스 활성은 DNA 또는 RNA와 같은 이중 가닥 핵산을 단일 가닥으로 풀어주는 효소 기능이며, 복제나 전사 과정을 촉진시킨다. 두번째 RNA 샤페론 활성은 핵산 구조의 올바른 접힘(folding)과 풀림 기능을 돕는 단백질로, 잘못된 RNA를 교정하거나 안정성을 향상시켜 세포 내 RNA 대사과정을 돕는 역할을 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가 빠르게 전파하기 위해서는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을 빠르게 복제하고 구성성분인 단백질을 생산해서 이들을 조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연구팀은 첫 번째 단계인 유전물질의 RNA 복제가 다른 바이러스에 비해 왜 빠르게 일어나는지 알려지지 않았으나, nsp13 단백질이 기존의 헬리케이스 활성과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샤페론 활성으로 유전자 복제 과정을 빠르게 촉진한다는 것을 규명했다.
nsp13 단백질은 유전적으로 잘 보존돼 다양한 변이 코로나바이러스에 대응하는 백신이나 감염 치료의 중요 표적이지만 정확한 작용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완전한 이해가 부족했다.
연구팀은 nsp13 헬리케이스가 ATP(아데노신 삼인산)를 분해해 나온 화학에너지를 이용해 유전물질인 RNA의 꼬인 구조를 단일 가닥으로 풀어주고 부산물로 ADP(아데노신 이인산)가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생성된 ADP가 nsp13와 재결합하게 되면 샤페론 기능을 활성화시켜 RNA 이차구조를 추가로 불안정화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결론적으로 헬리케이스 활성과 샤페론 활성이 시공간적으로 동시에 협력해 RNA 복제를 촉진하게 된다는 새로운 방식의 작용기전을 규명했다.
이광록 교수는“이번 연구는 대표적 핵산-효소 단백질인 헬리케이스가 ADP를 통해 샤페론적 활성을 나타내는 새로운 발견”이라며 “이를 통해 헬리케이스의 기능 다양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고, SARS 코로나바이러스의 다양한 변이에 대응할 효과적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의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연구 결과의 의의를 밝혔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尹대통령, 20일 헌재 탄핵심판서 한덕수 총리 대면…첫 형사재판도
- [오늘 날씨] 출근길 ‘체감 -10도 안팎’ 뚝…추운 날 ‘과음’하면 더 위험한 이유
- ‘손흥민 선제골 관여’ 토트넘, 맨유 꺾고 12위로 도약
- “안타까운 소식에 깊은 애도”…전 소속사·김옥빈, 故 김새론 추모
- 美, 대만 독립 지지 공식화 준비…’대만 독립 반대’ 문구 삭제
- 故김새론, 서울 아산병원에 빈소 마련…19일 발인
- SSG닷컴, ‘쇼핑 익스프레스’ 개최…패션·뷰티 상품 초특가
- 풀무원, ‘두유면’ 공급량 4배 확대…제로면 사업 본격화
- 아워홈, ‘단일 수원지 생수’ 지리산수 홍보 강화
- 신학기 앞두고…무신사, 노스페이스 25 SS 기획전 ‘인기’